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통신사 해지를 고민할 때 가장 부담스러운 건 단연 위약금입니다. 하지만 특정 조건을 활용하면 무약정 요금제나 유심만 개통 등의 방법으로 위약금 면제 사유를 만들 수 있습니다. 지금부터 통신사 해지 시 위약금 없이 빠져나오는 5가지 비법을 알아보세요.
1. 무약정 요금제로 전환하기
무약정 요금제는 약정 위약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, 해지 전 무약정 요금제로 전환하면 부담 없이 계약 종료가 가능합니다. 특히 SKT의 '언택트 플랜', KT의 'Y 무약정' 등이 대표적입니다.
- ✔ 요금제 변경 후 1~2개월 유지 권장
- ✔ 전환 전 약정 상태 확인 필수
2. 유심만 개통한 경우 위약금 없음
유심 단독 개통은 단말기 지원금이 없어 위약금 발생 요소가 없습니다. 알뜰폰뿐 아니라 SKT, KT, LG U+도 유심 전용 요금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- ✔ 단말기 없이 요금제 개통 시 위약금 면제
- ✔ 공시지원금·선택약정과 무관함
3. 위약금 면제 사유 활용하기
특정 조건에 해당할 경우 위약금 면제 사유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군입대, 해외 이주, 질병 치료 등이 대표적입니다.
- ✔ 서류 제출 시 위약금 100% 감면 가능
- ✔ 통신사 고객센터에 사전 문의 권장
4. 선택약정 551일 이후 재약정
선택약정 할인 가입자는 551일 이상 이용 시 위약금 없이 해지가 가능합니다. 혹은 해지 전 재약정을 통해 요금 할인 연장 또는 조건 완화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✔ T world 또는 고객센터에서 확인 가능
5. 약정 만료일 정확히 확인
가장 안전한 방법은 약정 만료일 이후 해지입니다. 일부 통신사는 만료일 전 1개월간 재약정 안내를 하며, 이를 거부해도 위약금 없이 해지가 가능합니다.
- ✔ SKT: T world 앱 > 가입정보 > 약정 확인
- ✔ KT: 마이KT 앱에서 약정 상세 확인
무약정 요금제, 유심만 개통, 위약금 면제 사유 등을 적절히 활용하면 통신사 해지 시 위약금 없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. 사전 확인과 고객센터 상담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