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을 노린 사칭 범죄가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.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문자, 전화, 악성앱 설치 유도 등의 수법이 더욱 정교해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클릭 한 번, 전화 한 통으로 계좌 정보가 유출되거나 해킹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. 아래 내용을 통해 민생회복지원금 사칭 피싱 사례와 실제 대응법을 꼭 확인하세요.
피싱 사례 - 이렇게 접근합니다
다음은 최근 발생한 민생회복지원금 관련 주요 피싱 사례입니다.
- 정부기관 사칭: 정부24, 복지로, 주민센터 명의 문자 발송
- 가짜 신청 링크 유도: "신청 안 하면 지급 불가", "긴급 지급 대상자 확인" 등의 문구 포함
- 개인정보 입력 요구: 주민번호, 계좌번호, 인증번호 등을 입력하라는 요구
- 앱 설치 요구: "지원금 수령 앱 설치"라는 허위 문구로 악성앱 설치 유도
- 전화로 인증번호 요구: 콜센터 사칭 후 인증번호 요청 → 문자 수신 후 해킹
실제로 가짜 정부24 사이트 접속 후 계좌정보가 유출되거나, 악성 앱을 통해 통장 잔액이 인출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
대응법 - 이렇게 막으세요
다음 대응법을 숙지해두면 대부분의 사기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.
- 공식 사이트 직접 접속: 주소창에 www.gov.kr 직접 입력
- 문자·SNS 링크 클릭 금지: "신청하세요" 링크는 전부 피싱 가능성
- 전화로 계좌/인증번호 요구 시 거절: 정부기관은 전화로 개인정보를 묻지 않음
- 앱 설치 유도 시 무조건 의심: 지원금 신청엔 별도 앱 설치 불필요
- 피해 발생 시 즉시 신고: 112(경찰), 1332(금융감독원), 118(인터넷진흥원)
- 지정 알림 서비스 활용: 부모님 계좌에 거래 발생 시 가족에게 알림 전송 가능
신청방법 - 정부 공식 경로만 이용
모든 신청은 공식 채널을 통해서만 진행해야 합니다. 다음 외 경로는 무조건 의심하세요.
"신청 링크"가 문자로 오거나, 친구·지인 명의로도 전달됐다면 반드시 출처를 확인한 후 이용하세요.
신청대상 - 피싱범의 주요 타깃
특히 민생회복지원금 수급 대상인 65세 이상 고령층은 피싱 범죄의 주요 타깃입니다.
-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
- 복지 혜택 대상자인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
- 주변 안내 없이 혼자 문자·전화를 처리하는 고령자
신청일 - 정해진 기한 외 안내는 모두 의심
민생회복지원금 신청은 1차: 2025년 7월 21일 ~ 9월 12일, 2차: 9월 22일 ~ 10월 31일까지만 진행됩니다.
이 외의 시점에 들어오는 "지급 마감 전 신청", "긴급 지원 대상 확인" 등의 문구는 모두 피싱 사기일 가능성이 높으니 주의하세요.
지원금 사용처 - 가짜 사용처 문자 주의
실제 지원금은 지역화폐, 선불카드, 카드 포인트 등의 형태로 지급되며, 공식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가짜 사용처 안내 문자는 클릭 금지
- "결제 완료" 문자로 유도되는 링크는 대부분 피싱 사이트
사용내역은 반드시 카드사 앱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앱을 통해 직접 확인하세요.